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료정보19

궤양성 대장염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중재 1. 정의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은 대장 전체에 걸쳐 점막과 점막 밑 조직에 연속성 있게 나타난다. 이 질환은 대개 직장과 결장의 말단부에서부터 직장구불결장판막을 거쳐 올라와서 구불결장과 하행결장으로 퍼져나간다. 궤양성 대장염은 염증, 장점막 비대, 울혈, 부종 및 작고 미세한 찢김으로 인해 출혈과 농양이 발생한다. 궤양성 대장염은 크론병보다 자주 발생하며, 어떠한 연령층에서도 생길 수 있으나 젊은 연령,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고 유전적 성향을 나타낸다. 2. 원인 궤양성 대장염의 원인으로는 세균감염, 알레르기 반응 또는 면역 상태 변화, 장벽에 보호 물질이 부족하거나 파괴적인 효소에 의한 염증 발생, 정서적 장애가 있다. 정서적 장애는 이 질환을 악화시키거나 장기화시킬 수 있으.. 2023. 6. 2.
직장암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검사, 치료, 간호중재 1. 정의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명칭이 정해지며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결장에 생기는 암은 결장암이라 한다.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 직장암이라고도 한다. 부위별 암 발생률은 상행결장 25%, 횡행결장 15%, 하행결장 5%, S상 결장 25%, 직장 S상 결장 접합부 10%, 직장 20%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발생하며 이는 선암으로 50세 이상 남녀에게 주로 발병한다. 암이 결장 및 직장에 한정되어 있으면 5년 생존율이 90% 이상이지만, 주위 조직으로 침범하면 65%, 원거리 전이 시 8%까지 감소한다. 이 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다른 암의 전이성 병변 등이 있다. 2. 원인 ① 나이 직장암은 연령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경향이 .. 2023. 6. 1.
간호 표준지침 : 투약사고 예방지침, 투약사고 처리지침, 항생제 투약지침, 정맥주사 투약지침 1. 투약사고 예방지침 1) 정확한 투약을 위한 다섯 가지 기본원칙(5 rights)을 항상 기억한다. ① 정확한 약 ② 정확한 용량 ③정확한 시간 ④ 정확한 경로 ⑤ 정확한 대상자 2) 의심이 가는 처방은 반드시 재확인한다. 3) 의사의 서명이 없거나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의사의 처방은 수간호사에게 보고하여 자문을 구한다. 4) 투여하는 약의 작용과 부작용, 특성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5) 의사의 처방을 약 카드에 옮겨 적을 때 두 번씩 확인한다. 6) 병동에서 약을 준비할 때는 반드시 세 번(약정에서 약을 꺼낼 때, 준비할 때, 다시 약정에 약병을 넣을 떼)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7) 약을 준비할 때 여러 환자의 약을 동시에 준비하지 않고 한 사람씩 차례로 준비한다. 8) 약의 색깔.. 2023. 5. 12.
배액관 관리(JP 또는 Hemovac) 핵심간호술 평가지 핵심간호술 평가지 평가술기 항목 18. 배액관 관리 (JP 또는 Hemovac) 평가차수 제 차 학년 (분반) 학번 이름 수행시간 평가자 평가일 평가결과 평가점수 PASS FAIL 7분 번호 수행항목 Pass Fail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6 대상자에게 배액관 적용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7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8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9* 배액이 잘되고 있는지, 배액관이 꼬이거나 접혀 있지 않은지.. 2023.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