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혈의 목적
① 수술 시의 출혈과 교통사고나 재해로 인한 외상에 따른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② 위중한 감염이나 간(肝)질환으로 인하여 혈액을 적절하게 생산하지 못하는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③ 신장(腎臟)질환이나 암과 같이 빈혈을 유발시키는 질병을 가진 경우 혈액을 보충하기 위함
④ 혈우병이나 혈소판감소증과 같은 출혈성 질환을 가진 경우 혈액 응고인자를 보충하여 지혈하기 위함
⑤ 혈액의 산소운반능력을 증가하기 위함
⑥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하기 위함
※ 수혈 vs. 헌혈
- 수혈 : 환자의 혈관 내로 타인의 혈액을 투여하는 치료
- 헌혈 : 건강한 사람이 자발적으로 자기의 혈액을 무상으로 제공함으로 혈액이 필요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일
2. 혈액 성분의 종류
☞ 한 명의 헌혈자로부터 채혈된 전혈은 성분별 분리과정을 거쳐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등으로 나누어짐
종류 | 수혈 목적 | 특징 및 적응증 | 용량 (주입시간) |
보관 (유효기간) |
||||
전혈 (whole blood) |
![]() |
세포와 혈장성분이 모두 포함된 혈액 산물로, 채혈 후 냉장 보관한 것 | 대량출혈 또는 수술 시 사용 | · 다량의 출혈시 혈액량 보충 및 산소운반 능력의 제공 시 이용 · 총 혈액량의 25% 이상 출혈 시
· 산소 운반능력과 혈액 보강 동시 요구 · 급성출혈, 수술 시 혈액량 소실 큰 경우
· 빈혈, 저혈량성 쇼크 발생 시
· 1unit 수혈 시 Hb 1g/dL, Hct 3~4% 상승
|
320-400ml (unit당 2~4시간) |
1~6⁰C 냉장 (조제 후 35일 이내 사용) * 실온에 30분 이상 노출된 것은 사용 금지 |
||
농축적혈구 (packed red blood cell : PRC) |
![]() |
전혈로부터 혈장성분을 제거한 것 | 적혈구 부족 또는 기능 저하시, 철결핍, 악성.재생불량성 등 각종 빈혈, 일산화탄소 중독 등에 사용 | · 만성 빈혈 환자 및 수술 또는 외상에 의해 총혈액량의 15% 이상 출혈 시 · 증상이 심한 빈혈, 급성 실혈 상태 시
· 적혈구 기능저하 시
· Hb가 7g/dL 이하인 경우
· ABO 및 Rh D 일치 필요
|
190-250ml (unit당 1.5~3시간) |
1~6⁰C 냉장 (조제 후 35일 또는 혈장 제거후 1시간 이내 사용) |
||
농축혈소판 (platelet concentrates : PC) |
![]() |
채혈 후 4시간 이내의 신선 전혈로부터 얻은 것 | 혈소판 기능 이상, 혈소판 감소 환자,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등에 사용 | · 혈소판 감소증 또는 혈소판 기능장애가있는 환자의 지혈기능 회복 시 · 항암제 치료, 악성종양의 골수침범, 원발성 골수형성부전증 등으로 인하여 혈소판수가 20,000/μL 이하로 감소된 환자 · 혈액암의 출혈예방
· 혈소판 수, 기능 이상으로 지속적 감소시 · 출혈없는 경우 PLT 20000/㎕ 미만
· 출혈예상 수술전 PLT 50000/㎕미만
· 혈소판 감염증
· 1unit 당 약 10,000/mm³의 PLT 상승
|
40-50mL / 1회에 6~8unit 투여
(unit당 5~8분)
|
20~25⁰C 실온 (조제 후 2~5일 이내 사용) |
||
성분채집 혈소판 (single donor platelet : SDP) |
![]() |
1인의 헌혈자로부터 혈장 내 혈소판만 채집하여 얻은 것 | 혈소판 기능 이상, 혈소판 감소 환자,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항암 치료 등에 사용 | · 혈소판 감소증 또는 혈소판 기능장애가있는 환자의 지혈기능 회복 시 · 혈소판 수혈불응증 예방을 위해 사용 · 혈소판수가 20,000/ul이하로 감소된 환자들에게 주로 적응 |
200-250mL (unit당 0.5~1시간) |
20~25⁰C 실온 (조제 후 2~5일 이내 사용) |
||
동결침전제제 (cryoprecipitates : Cryo) |
![]() |
신선동결혈장을 4⁰C에서 녹여 침전시킨 한랭침전단백과 소량의 혈장을 다시 -18°C이하에서 동결시켜 얻은 것 | 혈우병, 제8응고인자 결핍시에 사용 | · A형 혈우병, vonWillebrand 병, 선천성 또는 후천성 섬유소원 결핍증, 제XIII 인자 결핍증에 이용 · 산과적 합병증 또는 파종성혈관내응고증 등 섬유소원의 소모와 관계된 질환에 이용 |
40mL (unit당 5~8분) |
-20⁰C이하 (조제 후 1년, 37⁰에서 해동 후 1시간 이내 사용) |
||
신선동결혈장 (fresh frozen plasma: FFP) |
![]() |
채혈 후 6시간 이내 전혈에서 농축혈소판을 제거하고 남은 신선혈장을 -18°C 이하에서 급속 냉동시킨 혈액성분제제 | 모든 혈액응고인자 및 혈장 단백 등을 함유하고 있어 혈액응고인자 결핍의 보충을 위해 사용 |
· 응고질환(DIC, 혈소판감소자반증 등)
· 중증 간질환 시
· 출혈, 쇼크, 화상 시
· 응고인자 대치목적으로 가장 유용함
· 선천적 응고인자결핍증, 유전성 응고억제제 결핍증, 희석성 응고장애 시 · 용혈성요독성증후군, 비타민K결핍증 · 1unit당 응고인자 평균 2~3% 상승
· 출혈량을 예측할 수 없는 출혈로서 응급으로 혈액응고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경우 |
150-170ml (unit당 30분) *수혈전에 해동시켜 사용 |
-20⁰C이하 (조제 후 1년, 37⁰에서 해동 후 2시간 이내 사용) |
||
백혈구제거적혈구 (leukocyte-poor RBC) |
![]() |
필터를 이용해 백혈구를 제거한 제제 | 장기이식 환자 또는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등에게 사용 |
· 발열성 비용혈성 수혈 부작용,
동종 면역의 예방
· 백혈구를 통해 전파되는 감염증예방
· 선/후천적 면역 결핍, 심한 면역 억제 환자
|
160ml (unit당 1.5~3시간) |
1~6⁰C 냉장 (조제 후 35일 이내 사용) |
※ 혈액의 구성(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혈장) 및 기능, 순환에 관한 자료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혈액] 혈액의 기능, 혈액의 구성, 혈액의 순환
우리 몸무게의 약 8%를 차지하는 혈액은 액체 성분인 혈장(55%)과 세포 성분인 혈구(45%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로 이루어져 있으며, 뼈 속의 골수에서 생성되어 온 몸을 순환하면서 산소와 영
crazylearner.tistory.com
3. 수혈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부작용 | 원인 | 증상 | 간호 | ||||||
급성 용혈반응 | ABO형에 부적합한 전혈, 적혈구의 주입 | 오한, 열, 요통, 홍조, 빈맥, 빈호흡, 혈압하강, 맥관허탈, 헤모글로빈뇨, 혈색소혈증, 출혈, 급성 신부전, 쇼크, 심정지, 사망 |
· 혈액채취 과정 또는 수혈 전 대상자를 매우 신중하게 확인한 다음 기록도 해둔다.
· 수혈 시작 처음 15~20분 동안은 천천히 주입한다.
· 쇼크 치료한다.
· 혈청검사를 위한 혈액 채취, 처음 요채취물을 검사실로 보낸다.
· 수혈을 즉시 중단하고, 정맥수액을 투여하여 정상 혈압을 유지토록 한다.
· 필요 시 처방에 따라 이뇨제를 투여한다. · 시간당 요 배설량을 모니터한다.(필요 시 유치도뇨관을 삽입)
· 신부전 시에는 투석을 할 수 도 있다. |
||||||
발열성 반응 | 혈액 공여자의 백혈구, 혈소판, 혈장 단백질에 대한 과민성 보유(감작) | 갑작스러운 오한과 열, 1°C 이상의 체온 상승, 두통, 홍조, 불안, 근육통 |
· 백혈구가 거의 제거된 혈액 성분을 투여한다.
· 해열제를 처방에 따라 투여한다.
· 혈소판 감소증 대상자에게는 아스피린을 투여하지 않는다. · 다시 수혈을 시작하지 않는다.
|
||||||
알레르기 반응 | 수혈된 이종 단백질에 대한 민감반응 | 홍조, 소양증, 두드러기 |
· 항히스타민제를 처방에 따라 투여한다.
· 증상이 경미하고 일시적이면 수혈을 천천히 다시 시작한다.
· 열이나 폐 증상이 진전되면 수혈을 다시 시작하지 않는다.
|
||||||
아나필락시스 반응 | 공혈자 혈액의 백혈구, 혈소판, 혈장단백에 대한 수혜자의 과민반응 | 호흡곤란, 기침, 구토, 저혈압, 기관지 경련, 의식 소실, 호흡부전 쇼크 |
· 즉시 수혈을 중단하고 졍맥 내 주사로를 확보한다.
· 에피네프린을 피하투여 한다. · 심각한 경우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투여한다. |
||||||
순환과잉 | 너무 많은 양의 혈액 주입 | 호흡곤란, 마른기침, 폐부종 |
· 주입 속도를 늦추거나 중단한다.
· 활력징후 측정한다.
· 일어나 앉힌다.
· 의사에게 보고한다.
|
||||||
수혈 관련 급성 폐손상 | 수혈 혈액의 혈장 내에 백혈구 응집소나 조직적합항원(HLA)에 대한 항체가 있는 경우 | 급성 비심장성 폐부종, 호흡곤란, 저산소증, 저혈압, 발열 |
· 드물게 사망할 수 있지만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면 회복된다.
· 증상에 따른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
||||||
박테리아 반응 | 혈액 내 박테리아 감염 | 발열, 혈압상승, 건조하고 홍조 띤 피부, 복통 |
· 즉시 주입을 중단한다.
· 활력징후 측정한다.
· 의사에게 알린다.
· 항생제를 즉시 투여한다. · 대상자 혈액을 채취하고, 남은 혈액도 검사실에 보낸다. |
4. 수혈 시 주의사항
① 5% 또는 10% 포도당 용액과 혈액제제가 혼합되면 용혈이 일어나므로 주의한다. 혈액제제와 혼합할 수 있는 수액제제는 생리식염수 밖에 없다.
② 혈액 가온시 온도가 40⁰C를 넘어가지 않도록 유의한다.
③ Infusion pump를 사용할 때 주입속도가 빨라지면 적혈구가 손상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④ 반드시 미세필터가 갖추어져 있는 수혈세트를 사용하여 색전증을 예방하고 매 unit 당 세트를 교환한다.
⑤ 혈액제제가 실온에 노출되면 세균증식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혈액이 출고되면 바로 수혈해야 한다. 실온에 30분 이상 방치된 혈액은 수혈할 수 없고, 반납할 수 없으며 혈액은행으로 보내 폐기한다.
⑥ 부작용 등으로 수혈 도중에 중단하고 24시간 이내에 재수혈이 시행되지 않으면, 혈액은행으로 보내 폐기한다.
5. 수혈 시 필요한 검사
① ABO와 Rh 혈액형 검사
② 교차시험
③ 비예기항체 선별검사
④ 동정검사
댓글